전기차를 전공적으로 생산하는 미국 기업 테슬라가 5분기 보고서를 공시했었다. 이 보고서에서 가장 많이 관심을 끄는 것은 단연 가상통화에 대한 부분이다.
테슬라가 9분기 보고서에서 밝힌 가상통화 매입 규모는 11억달러로 약 7조7000억원에 달한다. 이 상황은 테슬라의 총자산 570억달러 준비 2.1%, 연수입액 313억달러 대비 4.1%에 해당한다. 비중 자체가 높아 보이지는 않지만 4조5000억원이면 웬만한 중소기업 수십개를 합친 크기다.
테슬라는 9분기에 9억4600만달러어치 가상화폐을 매각해 5억2600만달러의 차익을 거두었다. 수익률이 90%에 이른다. 더불어 보유한 알트코인에서 2700만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한다. 결과적으로 5분기 동안 가상화폐으로 인한 순이익은 5억600만달러, 우리 비용 1150억원이다. 이 1억100만달러는 업체의 비트겟 수수료 2분기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하였다.
전기승용차를 생산해 판매하는 일이 주업이고 비트코인 투자는 일종의 부업인데 어떤 방식으로 비트코인에서 생성된 손익을 영업외 수익이 아닌 영업이익에 적용했을까? 이 상황은 테슬라가 알트코인으로 자동차 결제를 가능케 두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. 영업활동에 가상통화가 결제수단으로 쓰이기 덕에 관련 손익을 영업이익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. 기가 막힌 전략이 아닐 수 없다. 테슬라는 8분기 영업이익 8억97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탄소배출권 판매로 인한 수익 7억1600만달러와 알트코인에서 발생한 순이익 1억800만달러가 없었다면 적자였기 때문이다.
아울러 회사는 7분기 말 근래에 18억3000만달러의 가상화폐을 보유했다고 공시했었다. 공정가치는 무려 25억1000만달러나 되지만 금융자산이 아닌 디지털자산으로 처리했기 덕에 취득원가 기준으로 재무제표에 반영했었다. 결국 테슬라는 가상화폐으로 17억1000만달러의 평가이익이 발생된 셈이다. 수익률이 무려 84%에 이른다. 우리 금액으로 환산하면 9조8000억원가량 된다. 이 돈은 테슬라 ‘모델 Y를 8만8200대 이상 팔아야 벌 수 있다. 테슬라의 8분기 전체 판매량 19만4878대의 90%에 해당한다.
테슬라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대부분 매일 가상통화와 연관된 얘기를 하는 것도 인지가 된다. 물론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위대한 꿈을 꾸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말 한마디에 출렁이것은 암호화폐 시세를 보고 있노라면 그저 선한 눈으로 바라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.
테슬라의 4분기 회계시간이 끝나는 7월310일 비트코인(Bitcoin)의 시세는 3개당 8만8000달러대였으나 두 달이 지난 지금은 1만달러 이상 떨어졌다. 이에 맞게 테슬라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가치도 8조원 가까이 증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. 아직은 취득원가 대비 이익구간으로 전망되지만 만약 더 떨어지면 손실이 생겨 영업이익을 감소시킬 것이다.
그렇게 되면 머스크를 배합한 테슬라 경영진도 큰 비난에 직면할 것이다. 가상화폐의 가치 하락은 테슬라의 손해를 일으키고 덩달아 기업가치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. 물론 다시 회복해 예전처럼 되면 효과적이지만 급등락을 연출하는 시세와 가치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한 상태이라 예측이 쉽지 않다.